보글보글 개발일지
반응형

기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4953582?sid=101

 

토요타 회장 "전기차의 현실 마침내 드러나는 중"

세계 1위의 자동차 메이커인 토요타 아키오 회장이 "세상은 마침내 실상을 깨닫고 있다(People are finally seeing reality.)"고 전기차에 대한 한계를 지적했다. 세계 최고기업이면서도 전기차

n.news.naver.com

요약

세계 1위의 자동차 메이커인 토요타 아키오 회장이 "세상은 마침내 실상을 깨닫고 있다(People are finally seeing reality.)"고 전기차에 대한 한계를 지적
 토요다는 오랫동안 자동차 산업이 하이브리드 가솔린-전기 자동차와 전기 자동차 이외의 다른 가능성에 계속 투자하면서 위험을 분산시켜야 한다고 주장
테슬라가 전기차 혁신을 이끌며 돌풍을 일으킬 때도 소비자 관점에서는 전기차의 비용편익이 하이브리드 차량에 비해 현저히 떨어진다는 지적을 내놓고 반박
"탄소 중립을 달성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며 전기차 위주의 규제 정책을 비판
전기차가 그 자체로는 탄소배출을 하지 않지만 동력원인 전기를 만들기 위해서는 그보다 많은 탄소를 배출

전기차 동력원인 배터리를 제조하기 위한 희소금속 광물인 리튬, 니켈, 코발트 등을 캐내기 위해 탄소배출보다 극심한 환경파괴가 이뤄지는 현실에 대한 비판

최근 전기차 업계는 초기 단계를 넘어 실제로 한계에 직면 ->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아키오 회장의 발언을 전하면서 올 상반기 전세계 전기차 판매량 증가세가 꺾임
올 상반기 전기차 판매량 증가율은 전년비 49%를 기록했는데, 지난해 같은 시기엔 63% 수준. 전체 전기차 가운데 과반인 55%가 중국에서 판매된 내수물량에 국한. 중국을 제외하면 전기차 붐은 확연히 사라지고 있는 것

참고

https://gscaltexmediahub.com/energy/energy-column/gsc-ev-carbon-emission-diesel/

 

전기차로 바뀌면 정말로 탄소배출량이 줄어들까?  – GS칼텍스 공식 블로그 : 미디어허브

기후변화에 대한 위기의식은 탄소중립화를 위한 노력을 요구하며 에너지 전환의 커다란 흐름을 만들고 있다. 탄소중립은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전세계 공통의 목표가 되었다. 우리도 2050년에 탄

gscaltexmediahub.com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3071114382452560

 

"전기차만으론 탄소 못 줄여"...'대체연료' 논의 확대하자는 학계 - 머니투데이

순수전기차만으로는 우리나라 발전 환경상 완전한 탄소중립을 이루기 어렵다는 분석이 나온다. 재생 합성연료(E-fuel) 등 기존 내연기관차의 탄소 배출도 줄일 수 있는 바이오연료 개발·도입도

news.mt.co.kr

 

내생각

며칠전에 전기차 보조금 지원 찬반 토론을 진행한 적이 있다. 난 찬성측이었고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해 전기차 도입이 필요하나 전기차가 비싸니까 직접적인 보조금을 지원해줘서 전기차를 많이 살 수 있도록 해야한다며 의견을 제시했다. 근데 반대측 한 분이 전기를 만드는 데도 탄소가 필요하다고 말씀하셨는데, 실제로 이런 기사를 보게되어 너무 흥미로웠다. 전기차를 타는 것이 과연 지구에 이로울까? 배터리에는 리튬이 필수적인데 리튬의 부족량은 심각하다고 한다. 재료 광석 등급도 갈수록 떨어져 비용 증가와 원료 공급망 불안정성이 증가할 것이고 배터리 재료 재활용도 거의 불가능 할 것이라고 하는데 아직 신재생 에너지에 대한 발전이 훨씬 더 필요해보인다. 재생 합성연료(E-fuel) 등 기존 내연기관차의 탄소 배출도 줄일 수 있는 바이오연료 개발·도입이 가장 시급한 것 같고, 당장 전기차가 탄소 배출을 줄일 수 없다는 게 팩트면 전기차의 이점은 뭘까... 석유도 없고, 리튬도 없고.. 그냥 자동차를 없애고 걸어다녀야하나? 

반응형
profile

보글보글 개발일지

@보글

포스팅이 좋았다면 "좋아요❤️" 또는 "구독👍🏻" 해주세요!